-
- [일반] 2025 실감미디어 겨울학교 성료
- 메타버스 융합대학원 인력양성 사업(류은석 단장)의 일환으로 지난 2월 24일부터 25일까지 우리 대학 인사캠에서 열린 ‘2025 실감미디어 겨울학교’가 성황리에 마무리됐다.이번 행사는 ‘가상 세계를 만드는 멀티모달 AI와 3D 생성 및 재구성 기술’이라는 주제로 개최됐으며, 멀티모달 AI 및 3D 기술의 최신 연구 동향과 실습이 어우러진 유익한 프로그램으로 구성됐다. 행사의 첫날은 홍성은 교수의 ‘멀티모달 AI의 원리와 응용’ 강연으로 시작됐다. 홍성은 교수는 멀티모달 AI의 핵심 개념과 주요 트렌드를 설명하며, 서로 다른 모달리티를 융합하는 다양한 방법과 응용 사례를 소개했다. 이어서 이상민 교수의 ‘멀티모달 AI 응용: 시각, 언어, 오디오 연결’ 강연이 진행됐으며, 다양한 데이터 표현 방식과 이를 활용한 문제 해결 방법이 논의됐다. 이어서 진행된 이경호 교수의 3D 디지털 휴먼 관련 강연에서는 ‘현실을 재현하는 3D 디지털 휴먼 기술’이라는 주제로 3D 스캔 및 모델링, 애니메이션 기술을 활용한 디지털 휴먼 제작 과정과 활용 사례를 설명했다. 참가자들은 언리얼 엔진의 Metahuman을 활용한 실제 사례를 통해 기술적 이해도를 높일 수 있었다. 둘째 날에는 생성형 AI를 활용한 가상 캐릭터 동작 생성 및 3D 공간 재구성 기술이 집중적으로 다뤄졌다. 이경호 교수는 ‘생성형 AI 기반 가상 캐릭터 동작 생성’ 강연을 통해 텍스트 기반 음성 및 동작 생성 기술을 설명하며, 가상 캐릭터의 자연스러운 표현 방식에 대해 논의했다. 이후 정종범 연구원이 ‘이미지 기반 3차원 재구성’ 강연에서 Structure-from-Motion(SfM) 및 Neural Radiance Fields(NeRF) 기술을 기반으로 한 3D 공간 재구성 기법을 소개했다. 오후 세션에서는 최근 주목받고 있는 Gaussian Splatting(GS) 기술을 주제로 발표가 진행됐다. 최재열 연구원이 ‘Gaussian Splatting 핵심 개념’ 강연을 통해 GS의 기본 원리를 설명한 데 이어, 박준형 연구원이 ‘Gaussian Splatting 최신 연구 동향’을 발표하며 대형 동적 공간 표현 및 렌더링 성능 향상 기술을 소개했다. 마지막으로 진행된 ‘Gaussian Splatting 실험 환경 셋업 및 실습’ 세션에서는 참가자들이 직접 GS 학습 모듈을 빌드하고 실시간 3D 공간을 렌더링하는 실습을 진행하며 기술 적용 방법을 체험할 수 있었다. 소프트웨어융합대학 실감 미디어공학과 주최로 개최된 이번 겨울학교 프로그램은 지능형멀티미디어연구센터,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의 지원을 받아 성사됐다. 행사에 참여한 한 연구자는 “이론뿐만 아니라 실습까지 포함된 프로그램이 매우 유익했다”라며 “실감 미디어 기술의 발전 가능성을 실감할 수 있는 자리였다”라고 소감을 전했다. 실감 미디어 및 AI 기술의 혁신을 이끌어 갈 연구자들의 적극적인 교류와 참여 속에 막을 내린 ‘2025 실감 미디어 겨울학교’는 앞으로도 매년 겨울방학 기간 동안 정기적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
- 작성일 2025-04-09
- 조회수 1959
-
- [연구] LAMDA Lab 박혜진, 이지윤 학생(지도교수 : 오하영), PAKDD(Pacific-Asia Conference on Knowledge Discovery and Data Mining) 학회 논문 게재
- 오하영 교수 연구실 LAMDA Lab에서 박혜진, 이지윤 학생이 발표한 FinTab-LLaVA: Finance Domain-Specific Table Understanding with Multimodal LLM using FinTMD 논문이 PAKDD (Pacific-Asia Conference on Knowledge Discovery and Data Mining)의 Full Paper로 Accept되어 Oral Presentation을 진행하게 되었다. 논문의 내용은 금융 도메인 특화 멀티모달 LLM인 FinTab-LLaVA 개발에 관한 연구로, 금융 테이블 데이터셋 FinTMD를 구축하고, Curriculum Learning 방식을 적용해 금융 도메인 지식 학습 및 테이블 이해 능력을 단계적으로 강화하여 금융 테이블 기반 질의응답, 사실 검증, 설명 생성 태스크에서 우수한 성능을 보이는 모델을 소개한다. PAKDD (Pacific-Asia Conference on Knowledge Discovery and Data Mining)는 1997년 첫 개최되어 올해로 29회를 맞은 데이터 과학, 데이터 마이닝, 지식 발견 분야의 권위 있는 학회로, 오는 6월 10일부터 6월 13일까지 호주 시드니에서 개최된다.
-
- 작성일 2025-04-09
- 조회수 3058
-
-
-
- [연구] 김재광 교수 연구실(기계지능연구실, mainLab.), The 48th International ACM SIGIR 2025 논문 게재 승인
- 김재광 교수 연구실(기계지능연구실, mainLab.), The 48th International ACM SIGIR Conference on Research and Development in Information Retrieval 논문 게재 승인 기계지능연구실 (지도교수: 김재광, https://mainlab.skku.edu)의 이남준(석사과정) 학생과 김재광 교수가 진행한 "SEALR: Sequential Emotion-Aware LLM-Based Personalized Recommendation System" 논문이 Information Retrieval 및 Intelligence 분야 에서 최우수 학술대회인 ACM SIGIR 2025 Short paper에 게재 승인되었습니다. 이번 연구는 감정 인식 기반 순차적 LLM 개인화 추천 시스템(SEALR)을 제안합니다. SEALR은 사용자 리뷰를 분석하여 시간 순서에 따른 감정 변화를 추적하고, 이를 기반으로 감정 레이블을 추출합니다. 이러한 감정 정보는 사용자의 선호도 변화를 보다 정밀하게 반영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특히 사용자의 행동 데이터를 기반으로 생성된 후보 아이템과 감정 정보를 LLM에 통합 입력하여 개인화된 추천 결과를 도출하는데, 다양한 후보 아이템 수와 LLM 미세 조정 비율을 실험 변수로 설정해, 추천 정확도와 탐색 사이의 최적 균형을 탐색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습니다. 아마존 리뷰 데이터를 활용한 실험 결과, SEALR은 기존 추천 방식 대비 의미 있는 성능 향상을 보였으며, 감정 정보와 행동 데이터의 통합이 추천 품질 향상에 효과적임을 확인했습니다. Abstract Large Language Models (LLMs) have demonstrated exceptional performance across various natural language processing tasks, driving significant advancements in language understanding and generation. However, their applicability in recommendation systems remains an area that requires further investigation. This study proposes the Sequential Emotion-Aware LLM-Based Personalized Recommendation System (SEALR) to harness this potential. SEALR applies sentiment analysis to user-generated textual reviews to sequentially track emotional changes for each user and extract sentiment labels. In addition, we design a novel framework that integrates candidate items generated by sequential models with user behavior data into an LLM to provide more precise and personalized recommendations. Our experiments investigate the impact of varying candidate pool sizes and instruction-based fine-tuning ratios, adopting an experimental methodology to optimize the trade-off between recommendation accuracy and exploration. To validat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approach, we conducted comparative experiments using Amazon datasets against existing recommendation methods, demonstrating meaningful performance improvements. Specifically, the combination of sentiment information and user behavior data contributed to enhancing recommendation performance, demonstrating the potential to accommodate diverse user preferences and contexts.
-
- 작성일 2025-04-09
- 조회수 2841
-
- [일반] 올림플래닛 김명현 CTO, 2025년 IAB 위촉 및 시스터기업 가입
- [사진] 홍성은 실감미디어공학과학과장(좌측), 김명현 올림플래닛 CTO, 김진필 실감미디어공학과 산학협력교수 (우측) 지난 3월 19일(수), 올림플래닛이 실감미디어공학과의 IAB(기업자문위원: Industrial Advisory Board)에 합류하였습니다. IAB는 기업 친화적인 교육과 연구를 위해, 기술과 콘텐츠 트랙을 대표하는 기업 담당 부서의 임원급 전문가들로 구성된 단체입니다. IAB는 학과 및 연구 전반에 대한 조언을 제공하며, 실감미디어공학과의 연말 연구 성과 발표회(Year-end Research Review)에 초청되어 심사위원으로 참여하고, 연구 및 개발 성과에 대해 피드백을 제공합니다. 실감미디어공학과는 2024년 LG전자 CTO그룹 i-LAB 이석수 연구소장(상무)을 1호 IAB 위원으로 위촉했으며, 삼성전자, SK텔레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한국전자기술연구원(KETI), LG유플러스, NAVER 클라우드센터, LG헬로비전, KBS 미디어연구소, (주)상화, SOS LAB 등의 임원 및 소장들과 함께 11명의 IAB 기구를 운영해왔습니다. 그에 이어, 2025년에는 올림플래닛이 새롭게 합류하게 되었습니다. 올림플래닛은 메타버스 기반의 3D 공간 데이터 플랫폼을 제공하는 기업으로, 부동산, 전시, 리테일, 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혁신적인 실감형 가상공간 솔루션을 선도하는 스타트업입니다. 이날 올림플래닛은 2025년부터 시작하는 실감미디어공학과 가족기업(Sister 기업)에 참여를 신청하였으며, 홍성은 학과장과 함께 IAB 위촉장 수여식 및 가족기업을 통한 상호 기술/교육 협력 및 공유 프로세스에 대해 환담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https://www.instagram.com/share/p/BAGA1OKLAp
-
- 작성일 2025-04-08
- 조회수 1677
-
- [일반] 김장현 교수 칼럼 [김장현의 테크와 사람] 〈72〉오지랖 넓은 AI가 온다
- 영화에서 보면 서로 다른 인공지능(AI)이 서로 질문을 하거나 토론을 하는 장면이 나온다. 급기야 서로 다투는 경우까지 나오는데, 이런 장면은 관객을 웃게 만드는 장난스러운 장면으로 취급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이제 챗GPT, 클로드와 같은 대규모언어모델(LLM)이 사용자와 이전에 나누었던 대화의 맥락을 되살려 그 대화를 계속해서 이어갈 수 있고, 필요시 외부 데이터베이스와 도구에 접근해 더 깊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표준화된 개방형 기술규약이 있는데 이것을 모델컨텍스트프로토콜(MCP)라고 한다. MCP 덕분에 AI를 중심으로 다양한 데이터와 애플리케이션(앱)을 불러들여 통합해 활용할 수 있는 것이다. 기존 대형 언어 모델은 막대한 비용을 들여 구축한 훈련 데이터를 학습해 지식을 형성했지만, 그것도 끊임없이 자체 업데이트를 해야 하며, 특정 영역의 전문 지식에는 약점을 보여왔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MCP가 등장하게 된 것이다. MCP의 등장은 월드와이드웹 또는 웹이라 불리우는 인터넷 서비스가 시작되던 시기를 연상케 한다. HTTP라는 프로토콜 덕분에 전 세계 수많은 웹사이트와 접속자의 컴퓨터가 동일한 표준으로 연결될 수 있었고, 이것은 인터넷 혁명을 일으키는 밑바탕이 되었다. MCP는 사용자와 오랜 시간 같은 주제나 맥락 안에서 자연스런 대화를 이어갈 수 있게 해 준다. 마치 헌법재판소가 오랜 기간 평의를 통해 의견을 좁혀 나가듯이, 장기간 같은 주제를 깊이 다룰 수 있다는 것은 LLM이 가지고 있었던 맥락상 제약을 극복할 수 있다는 뜻이다. 예를 들어 고객센터의 상담원 역할을 하는 AI챗봇이 동일한 이용자의 예전 문의사항을 검토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개인화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MCP는 법률, 의료, 금융 등 다양한 전문분야에서 양질의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한다. 그러나 MCP가 일시적 유행에 그치는 기술이 될지, 아니면 HTTP와 같은 보편화된 기술규약이 될지는 아직 알 수 없다. 다만, AI시대가 깊어갈수록 AI간의 연결, AI와 다양한 데이터소스간의 연결, AI와 이용자의 과거 대화기록과의 연결이 중요해질 것이라는 점은 분명하다. 이렇게 높은 연결성을 바탕으로 미국 전자상거래 플랫폼 시장에서 높은 지배율을 보이는 서비스 중에 쇼피파이(Shopify)가 있다. 쇼피파이는 클릭 몇 번으로 온라인에서 나만의 상점을 열 수 있고 결제 시스템도 설치할 수 있는 편의성을 갖고 있지만, 다른 서비스와 차별화되는 점은 구글 플레이스토어나 애플 앱스토어와 같은 자체 서비스용 앱 스토어를 구축하고 있다는 점이다. 쇼피파이에서 가게를 열고자 하는 사업자들은 각자 다른 요구사항을 갖고 있기 마련이며 앱 스토어는 그러한 요구를 충족시켜 준다. 예를 들어 소셜미디어광고, 이메일 마케팅에 집중하고 싶은 사업자는 마케팅에 특화된 앱을 클릭하여 연동시키면 그 기능이 추가된다. 사용자의 구매 경험을 최적화하고 싶은 경우에는 사용자 경험 개인화에 특화된 앱을 연동시킨다. 어떤 소비자가 내 상품을 오랜 기간 장바구니에 넣어두고 망설이고 있는지 알 수 있다면 그 소비자에게만 전용 쿠폰을 발급하는 기능도 가능하다. 이러한 연결성과 유연성 덕분에 쇼피파이는 사업자의 다양한 구미를 맞추어 주면서 전자상거래 플랫폼 시장의 강자가 되었다. 요컨대 AI시대에도 다양한 데이터와 앱을 연결할 수 있는 개방성과 연결성이 중요함을 알 수 있다. 오지랖이 넓은 AI가 득세하는 세상이 오고 있다. 마찬가지로 인간에게도 새로운 연결을 끊임없이 모색하는 자세가 필요해 보인다. 김장현 성균관대 교수 출처: <전자신문 4월 3일> https://www.etnews.com/20250403000056
-
- 작성일 2025-04-07
- 조회수 1680
-
- [일반] 인공지능융합원, 2025 월드클래스 최고 전략 아카데미 운영
- 인공지능융합원, 2025 월드클래스 최고 전략 아카데미 운영 우리 대학은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이하 경과원)의 ‘월드클래스 CEO 아카데미’ 교육 운영기관으로 선정되어, 향후 3년간 연 2회 교육과정을 운영한다. 지난 1기에 이어 이번 AI·DX 글로벌 혁신 전략가 과정도 인공지능융합원(원장 김광수)에서 운영하며, 중소·중견기업 CEO와 임원, 차세대 리더, 전문직 종사자, 공직자 등 각계 리더 32명을 대상으로 진행된다. 3월 28일 판교 캠퍼스에서 입교식을 시작으로 총 14주간의 교육훈련, 해외연수 및 워크숍을 포함한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 있다. 김광수 원장은 “AI·DX는 단순한 기술 변화가 아니라 기업 생존과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핵심 전략”이라며, “교육생들이 디지털 전환 시대에 걸맞은 통찰력과 주도력을 갖춘 리더로 성장하길 바란다”고 밝혔다. 본 교육과정은 교내 교수진과 외부 전문가가 함께하며, ▲AI·DX 혁신 전략과 글로벌 생태계 ▲글로벌 DX 사례 분석 ▲데이터 기반 경영과 디지털 거버넌스 ▲팀별 맞춤형 AI·DX 전략 수립 실습 ▲원우회 중심의 네트워킹 ▲ 대만 해외연수를 통해 글로벌 혁신사례를 직접 체험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인공지능융합원 송경희 산학교수는 “성균관대학교는 앞으로도 기업 현장의 수요에 부응하는 실질적 교육을 지속적으로 제공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강지훈 경과원 경제이사는 “이번 프로그램이 중소·중견기업의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하고, 글로벌 시장에서도 경쟁력을 갖춘 리더를 배출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경과원과 성균관대는 올해 하반기에 ‘제3기 월드클래스 최고전략 아카데미’를 운영하여, 더 많은 경기도 기업이 AI·DX 전략 역량을 키울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지원할 예정이다. 출처: 성균관대학교 홍보팀
-
- 작성일 2025-03-31
- 조회수 1870
-
- [연구] 김형식 교수 연구실(보안공학연구실, SecLab), IEEE Symposium on Security and Privacy (S&P) 2025 논문 게재 승인
- 보안공학 연구실 (지도교수: 김형식, https://seclab.skku.edu)의 김은수(박사과정) 학생과 김형식 교수가 진행한 "Open Sesame! On the Security and Memorability of Verbal Passwords"논문이 컴퓨터 보안 분야에서 최우수 학술대회인 IEEE Symposium on Security and Privacy (S&P) 2025에 게재 승인되었습니다. 이번 연구는 미국 테네시 대학교(University of Tennessee)의 김두원 교수와 보안공학 연구실 졸업생인 이기호 연구원(ETRI)이 참여하여 연구를 진행하였습니다. 연구진은 두 차례의 대규모 사용자 실험을 통해 음성으로 전달하는 패스워드 (verbal password)의 보안성과 기억 용이성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여, 기존 텍스트 비밀번호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실질적이고 안전한 대안임을 입증하였습니다. 첫 번째 사용자 실험에서는 2,085명의 사용자가 자유롭게 생성한 음성 패스워드를 대상으로 장/단기 기억력 및 보안성을 분석하였습니다. 보안성 테스트에서 2천만개 이상의 Common English 문구들로 학습된 PassphraseGPT 모델을 통해 사용자가 생성한 음성 패스워드의 약 39.76%가 10억 번의 추측 시도 이내에 예측될 정도로 취약하다는 것을 밝혔습니다. 하지만 두 번째 사용자 실험(600명 대상)에서는 단어 최소 개수 제한과 금지어 목록(blocklist)을 활용한 비밀번호 생성 정책을 적용하여 음성 패스워드의 기억 용이성을 보장하면서 보안성을 현저히 개선했습니다. 사용자들의 장기 기억 실험에서 비밀번호 생성 정책을 적용한 음성 패스워드 사용자 그룹의 65.6%가 성공적으로 비밀번호를 기억하여, 기존 텍스트 비밀번호(54.11%) 대비 높은 기억 성능을 보였습니다. 또한, 비밀번호 추측공격에 의해 예측 가능한 verbal password의 비율이 텍스트 비밀번호 보다 낮아, 공격에 더 효과적으로 저항할 수 있음을 입증했습니다. 이번 연구는 키보드 입력이 불가능하거나 불편한 상황(스마트 어시스턴트, 웨어러블 기기, 차량 환경, VR/AR 환경)에서 언어 비밀번호가 텍스트 비밀번호를 효과적으로 대체할 수 있는 실용적이며 보안성 높은 대안임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습니다. 연구 발표는 2025년 5월, 미국 캘리포니아 주 샌프란시스코에서 진행될 예정입니다. Abstract Despite extensive research on text passwords, the security and memorability of verbal passwords—spoken rather than typed—remain underexplored. Verbal passwords hold significant potential for scenarios where keyboard input is impractical (e.g., smart speakers, wearables, vehicles) or users have motor impairments that make typing difficult. Through two large-scale user studies, we assessed the viability of verbal passwords. In our first study (N = 2,085), freely chosen verbal passwords were found to have a limited guessing space, with 39.76% cracked within 10^9 guesses. However, in our second study (n = 600), applying word count and blocklist policies for verbal password creation significantly enhanced verbal password performance, achieving better memorability and security than traditional text passwords. Specifically, 65.6% of verbal password users (under the password creation policy using minimum word counts and a blocklist) successfully recalled their passwords in long-term tests, compared to 54.11% for text passwords. Additionally, verbal passwords with enforced policies exhibited a lower crack rate (6.5%) than text passwords (10.3%). These findings highlight verbal passwords as a practical and secure alternative for contexts where text passwords are infeasible, offering strong memorability with robust resistance to guessing attacks.
-
- 작성일 2025-03-31
- 조회수 2941
-
- [연구] 김형식 교수 연구실 (보안공학연구실, SecLab),WWW 2025에 논문 2편 Oral 세션 채택
- 보안공학연구실(지도교수: 김형식)은 미국 테네시 대학교(University of Tennessee)의 김두원 교수와 공동으로 수행한 연구 결과 2편이 웹 분야 최우수 국제학술대회인 The Web Conference (WWW) 2025에 Oral 세션으로 채택되었습니다. 이번 연구에는 보안공학연구실 졸업생 이기호 연구원(현 ETRI)이 테네시 대학교 방문 연구원으로 참여하여 김형식 교수와 함께 연구를 공동 수행하였습니다. 두 논문 모두 대규모 실증 데이터를 기반으로 피싱 공격의 특성과 구조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였으며, 피싱 공격에 대한 근본적인 이해와 새로운 대응 전략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습니다. 논문 발표는 2025년 5월, 호주 시드니에서 진행될 예정입니다. 논문1 . 7 Days Later: Analyzing Phishing-Site Lifespan After Detected 본 논문은 피싱 사이트의 탐지 이후 생존 기간 및 변화 양상을 분석한 실증 연구입니다. 5개월간 286,237개의 피싱 URL을 30분 간격으로 추적하여 피싱 사이트의 공격 패턴을 분석하여, 왜 기존 피싱 탐지 전략의 효과가 떨어지는지를 분석하였습니다. 피싱 사이트의 경우, 평균 생존 시간 54시간, 중앙값은 5.46시간으로 짧기 때문에, 피싱 사이트를 훈련하고, 탐지하는 접근 방법의 한계성을 분석하였습니다. 예를 들어, Google Safe Browsing은 평균 4.5일 후 탐지를 수행하는데, 피싱 사이트의 84%는 탐지 전에 이미 종료하여, 실질적인 탐지는 한계를 갖는다는 것을 보여줬습니다. 논문2 . What's in Phishers: A Longitudinal Study of Security Configurations in Phishing Websites and Kits 본 논문은 2년 7개월간 수집한 906,731개의 피싱 웹사이트와 13,344개의 피싱 키트 데이터를 종합 분석하여, 피싱 인프라의 보안 설정과 구조적 취약점을 시스템적으로 분석한 연구입니다. 피싱 사이트의 구조적 취약점을 활용해 공격 인프라를 능동적으로 무력화할 수 있는 전략을 제안하여 기존의 수동적 탐지·차단 방식에서 벗어나, 피싱 사이트를 조기 차단하는 새로운 대응 방향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주목받았습니다.
-
- 작성일 2025-03-27
- 조회수 30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