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 [이호준 교수 연구실] ACM CCS 2024 학술대회 수상소식
- 소프트웨어융합대학
- 조회수3120
- 2024-10-18
시스템보안 연구실 (지도교수 이호준, https://sslab.skku.edu)의 임하정(박사과정), 김재윤(석박통합과정) 학생의 "uMMU: Securing Data Confidentiality with Unobservable Memory Subsystem" 논문이 보안 분야 4대 학회 중 하나인 ACM Conference on Computer and Comunnications Security (CCS) 2024 학회에서 Distinguished Paper Award를 수상하였다. Distinguished Paper Ward는 CCS'24에서 발표된 331편의 논문 중 28편에 수여되었다.
논문 요약:
현대 컴퓨팅 시스템의 메모리 계층 구조는 여러 종류의 보안 위협에 노출되어 있어 데이터 기밀성 보장이 계속해서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공격자들은 다양한 강력한 공격 기법을 통해 중요 데이터를 직간접적으로 유출해왔으며, 새로운 공격들이 지속적으로 발견되고 있습니다. 안전하지 않은 언어로 작성된 프로그램에서의 메모리 안전 (Memory Safety)는 달성하기가 매우 어려워 공격으로 인한 비정상적인 메모리 접근이 직접적인 공격 경로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HeartBleed와 같은 보안 사고가 이러한 공격의 대표적인 예시입니다. 최근에는 마이크로아키텍처 부채널 공격이 일반 프로그램뿐만 아니라 TEE(Trusted Execution Environment) 같은 기술로 보호된 프로그램의 데이터조차 유출 가능함을 증명하고 있습니다.
이 논문에서는 uMMU라는 새로운 프로세스 내 데이터 보호를 위한 메모리 서브시스템을 제시합니다. uMMU는 프로세서 레지스터를 관측할 수 없는 저장소로 사용하는 기법을 메모리 암호화 및 Oblivious RAM과 같은 데이터 기밀 보호 기술과 유기적으로 통합합니다. uMMU는 프로세서 아키텍처의 확장 레지스터(예: Intel x86의 AVX512)를 관측할 수 없고 주소 지정 가능한 물리 메모리로 추상화합니다. 가상 메모리 원칙을 완성하는 것은 암호화 또는 ORAM과 같은 메모리 기밀성 정책이 적용된 안전한 스왑 공간을 유지하는 메모리 관리입니다. uMMU는 민감한 데이터에 대한 데이터 기밀성 정책을 호스팅할 수 있는 범용적이고 강력한 데이터 보안 프레임워크입니다. 실험 결과에 따르면, uMMU는 민감한 데이터 보호를 위한 암호화 및 ORAM 스킴을 사용한 프로그램의 성능을 크게 향상시킵니다. MbedTLS의 민감 데이터 암호화 기반 보호에서 평균 69.93%의 성능 향상, 그리고 Memcached의 해시 테이블에서의 액세스 패턴을 숨기는 ORAM 기반 보호에서 497.84%의 성능 향상을 보였습니다.